본문 바로가기
BOOK

분량에 따른 소설 분류(엽편, 단편, 중편, 장편, 대하 소설)와 예시

by 여름달_월하 2023. 1. 13.

엽편부터 단편, 중편, 장편 그리고 대하소설까지
분량에 따른 소설 정의와 예시

 

 

소설이란 작가가 산문체로 쓴 문학 양식을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문체란 외형적인 운율이 없이 자유로이 사실을 기술하는 문체(출처: 다음 국어사전)를 말하는 것으로, 소설의 구분에는 형식별 혹은 장르별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분량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소설의 형식에는 고전소설, 대본소설, 순수문학, 웹소설, 장르문학, 참여문학 등이 있으며, 장르별 분류로는 고딕, 성장, SF, 라이트노벨, 로맨스, 무협, 역사, 추리, 판타지, 호러, 전기 소설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통해 정확한 정의와 예시를 알아보기로 하고, 오늘은 분량에 따른 소설 분류와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1. 콩트

200자 원고지 5매 분량의 짧은 이야기를 가리켜 콩트라고 말합니다. 엽편소설이랑 비슷한 분량이지만, 기승전결 구조를 갖춘 엽편소설과는 달리 콩트는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예시로는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한 코너 정도의 상황극 분량을 들 수 있습니다.

 

2. 엽편소설

200자 원고지 4-20매 이내 분량의 짧은 소설입니다. 콩트 설명에서도 말한 것과 같이 엽편소설은 짧은 분량이지만, 하나의 이야기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엽편소설집 예시로는 정세랑 작가의 '아라의 소설'이 있습니다.

 

3. 단편소설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 소설을 뜻합니다. 이 분량은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며 단편소설 공모전의 경우 70~100매 분량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잘 알려진 단편 소설로는 김유정 작가의 '봄봄', '동백꽃', 황순원 작가의 '소나기', 이상의 '날개' 등이 있습니다. 단편 소설의 경우, 한 편의 단편 소설을 책으로 출판하기보다는 몇 편의 단편을 묶어 단편집으로 출판하는 형태를 지닙니다.

 

4. 중편소설

200자 원고지 250매~700매 분량의 소설입니다. 최근에는 500매~600매 분량 소설을 경장 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중편소설의 경우 단편과 장편소설을 나누는 분량 기준에 비해 절대적이지 않으며, 단편과 장편 사이에 있는 소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중편소설로는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이 있습니다.

 

5. 장편소설

200자 원고지 1000매 이상, 최소 10만 자 이상의 분량 소설을 장편소설로 분류합니다. 한 권 분량의 책으로 엮인 대부분의 소설이 장편소설에 해당합니다. 글 상단에서 언급한 장르별 소설을 분류 시, 대부분이 장편소설을 기준점으로 잡습니다.

 

6. 대하소설

대하소설은 장편소설 1권 기준 대게 3권 이상 분량이 되는 소설을 말합니다. 3권 이상부터 대하소설로 분류하지만, 대게는 10권 이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대하소설은 길이가 매우 길어, 다수의 등장인물이 등장하며 복잡한 전개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인기 대하소설의 경우, 인터넷 사이트에 등장인물 정보와 줄거리, 사건을 정리한 문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국 문학 중 대하소설로는 박경리 작가의 '토지(20권)', 조정래 작가의 '한강(10권)', '태백산맥(10권)', '아리랑(12권)', 황석영 작가의 '장길산(12권)', 최명희 작가의 '혼불(10권)' 등이 있으며, 해외 문학으로는 조앤. K. 롤링 작가의 '해리포터 시리즈(10권)', 프랭크 허버트 작가의 '듄 시리즈(6권)', J.R.R. 톨킨 작가의 '반지의 제왕(6권)', 레프 톨스토이 작가의 '안나 카레니나(3권)', 표로드 도스토옙스키 작가의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3권)', 빅토르 위고 작가의 '레 미제라블(5권)' 등이 있습니다.

 

 

 

댓글